주소복사
대표문의 032-528-7288
상단으로 이동

전체메뉴

비문증
[Retinal detachments & breaks]

우리의 눈 속 내부는 비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유리처럼 맑은 투명한 젤라틴과 같은 유리체로 가득 채워져 있습니다. 유리체는 안구 부피의 약 70%를 차지하며 태아 때 형성되어 성인이 된 후에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비문증은 노화나 여러 가지 안과 질환에 의해 안구의 유리체가 혼탁하거나 안저 출혈로 인해 발생하게 됩니다.

비문증
발생 원인 눈 속의 유리체는 계란 흰자와 같은 맑은 액체가 대부분을 채우고 있는데, 유리체에 혼탁이 있을 경우 빛이 통과하다가 망막 위에 그림자를 만들기 때문에 눈 앞에 검은점이나 작은 곤충, 실오라기, 아지랑이 등과 같은 부유물질이 날파리처럼 떠다니는 증상을 느끼게 됩니다.
비문증 발생원인

01   노화

비문증의 대부분은 노인성 질환으로 40대 이후 본격적인 노화가 발생됩니다. 유리체의 노화는 “젤라틴” 처럼 탄력있고 유리처럼 투명한 조직이 "물” 로 변하게 되는 “유리체액화 현상” 을 말합니다. 액화 현상으로 인하여 투명한 유리체 안에 단단히 붙어 있던 교원질 섬유가 떨어지면서 눈 속에 찌꺼기가 되어 떠다니다가 빛과 만나면 검은점이나 작은 곤충, 실오라기, 아지랑이 등과 같은 것으로 보이게 됩니다. 보통 65세 이상에서 41%는 “후유리체 박리”가 일어나고 그 중 80%에서 비문증을 느끼게 됩니다.

02   고도근시

젊은 사람에게서 비문증이 나타난다면 대부분 고도근시가 원인입니다. 근시의 정도가 심할수록 안구의 길이가 길어지고, 안구의 크기도 커져 망막조직이 얇아지는데, 이 과정으로 인해 눈 내부를 채우고 있는 유리체가 액화되어 비문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고도근시의 경우 주변부 망막변성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비문증이 있다면, 망막박리 발생에 대한 주의를 해야 합니다.

고도근시

03   망막열공 및 망막박리

당뇨망막증, 망막혈관폐쇄증, 고혈압성망막증, 뇌지주막하출혈 등으로 인해 망막혈관 폐쇄가 발생하면 유리체내에 혈액이 고이게 되는데, 이 혈액의 찌꺼기에 빛이 통과하다가 망막 위에 그림자를 만들면 비문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발병 당시 가벼운 출혈일 경우에는 시력장애 없이 비문증만 느끼게 되며, 출혈이 심할 경우 앞이 보이지 않는 시력 장애 현상을 보이게 됩니다.

  • 망막열공 부평성모안과 치료

    망막열공 치료사례

  • 박리된 망막

    박리된 망막

04   유리체 출혈

당뇨망막증, 망막혈관폐쇄증, 고혈압성망막증, 뇌지주막하출혈 등으로 인해 망막혈관 폐쇄가 발생하면 유리체내에 혈액이 고이게 되는데, 이 혈액의 찌꺼기에 빛이 통과하다가 망막 위에 그림자를 만들면 비문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발병 당시 가벼운 출혈일 경우에는 시력장애 없이 비문증만 느끼게 되며, 출혈이 심할 경우 앞이 보이지 않는 시력 장애 현상을 보이게 됩니다.

  • 안구의 외상1

    혈관폐쇄 및 찌꺼기 있는 모습

  • 안구의 외상2

    유리체내에 혈액이 고인 모습

05   편두통


눈 속에서 번갯불이 번쩍이는 증상으로 안과를 찾는 사람들 가운데 비문증이 아닌 편두통 증상인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이때 보이는 아지랑이는 눈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06   안구의 외상

눈이 외부의 충격을 받고 비문증이 발생했다면 유리체의 박리, 유리체 출혈 등으로 인해 비문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07   기타 질환

망막시신경염, 급성열성전염병, 망막색소변성 등으로 비문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눈앞에 뭔가 떠다니는 비문증은 맑은 하늘이나 하얀 벽, 하얀 종이를 배경으로 보았을 때 더욱 뚜렷하게 보입니다. 비문증을 “유리체 혼탁”이라고 하는데 혼탁을 유발하는 찌꺼기의 모양이 둥글면 둥근 모양, 길쭉하면 머리카락 모양, 실 뭉치같은 모양이면 구름 모양 같이 보이게 됩니다. 또한 여러 개의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떠 다닐 수 있으며, 보고자 하는 방향을 따라 다니면서 보이기도 합니다.
비문증 증상
진단

[ 1단계 ]

  • 문진

    문진
    당뇨, 고혈압 등 과거 병력
    외상 여부,비문증 증상을 확인

  • 세극등현미경 검사

    세극등현미경 검사
    염증 여부, 안저의 이상 여부
    1차 확인

  • 산동 검사

    산동 검사
    광시증의 있는 경우 망막
    가장자리 검사

[ 2단계 ]

  • 광각안저 촬영

    광각안저 촬영
    망막과 유리체를 무산동
    상태에서 200° 범위로 관찰

  • 눈 CT

    눈 CT
    망막내부 단층 촬영 및 질환을
    3차원적 분석

  • 진료

    진료
    눈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진료 진행

치료 방법 생리적인 변화에 의한 비문증일지라도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크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이면 레이저 치료나 유리체절제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레이저 치료 이미지

    01   레이저 치료


    레이저 치료는 레이저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적인 충격파를 이용하여 커다란 부유물을 작게 부수거나 흐트러뜨림으로써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미국에서 일부 안과의사들이 시행하는 시술로 국내에서는 거의 시행하지 않고 있는 시술법입니다. 이유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고 비문증환자 중 10%정도만 해당되며, 눈 속에는 충격파로 없앨 부유물뿐만 아니라 연약하고도 매우 중요한 망막과 유리체 등이 있는데 이 충격파가 전달되어 망막에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부유물이 깨지면서 숫자가 더 늘어나게 되어 결과적으로 불편감이 더 커지는 경우도 없지 않습니다.
  • 유리체절제술 이미지

    02   유리체절제술


    비문증은 기다려보면 저절로 좋아질 수 있기 때문에 바로 수술을 권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6개월이 지나도 부유물의 크기와 밀도가 크며 시축을 가로막아 일상생활이 힘들다면 수술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리체절제술의 경우 드물지만, 위험한 합병증들 즉 망막박리나 안내염 등의 합병증이 동반할 수 있으므로 집도의와 긴밀한 상담이 필요합니다.

03   기타 질환

생리적인 변화에 의한 비문증은 증상 자체를 질환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합병증의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치료를 권하지 않습니다. 비문증은 한번 생기면 증상이 더 자주 생기거나 줄어드는 것이 반복되는데, 아무런 조치 없어도 이런 상황이 반복되게 되며, 적응하는 데에는 사람마다 편차가 있지만 보통 1~2년 정도면 대부분 적응하게 됩니다. 불편을 느낄 시에는 잠시 위를 쳐다보고 난 뒤 다시 보면 일시적으로 사라지기도 합니다.
비문증이 생겼을 때는 치료가 필요한 질환으로 인한 증상인지 진료받는 것이 향후 시력예후와 치료에 중요하므로 꼭 안과 내원하셔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예약하기 예약하기  > 상담하기 상담하기  >

28년 역사의 부평성모안과

FULLSET옵티레이저, 최소 절삭 -12디옵터까지 교정, 8년 연속 인천 베스트 ICL 센터 수상, 무봉합 백내장 전문의 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