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복사
대표문의 032-528-7288
상단으로 이동

전체메뉴

망막박리
[Retinal detachments & breaks]

망막박리란 망막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안구내벽에서 분리된 것을 말합니다. 망막이 안구벽으로 부터 떨어지게 되면 망막에 영양공급이 되지 않고, 시세포의 기능도 점차 떨어지게 됩니다. 만약 이런 상태가 계속된다면 망막과 안구가 위축되어 영구적인 실명에 이르게 됩니다.

망막박리
망막박리 원인 망막박리의 원인은 고도근시 및 노화가 주요 원인인데 눈의 내부를 채우고 있는 끈적이는 젤 상태의 물질인 유리체의 노화가 진행될 수록 액체화되고 수축 현상이 일어나 망막으로부터 분리가 됩니다. 이때 유리체가 망막을 잡아 당겨 망막이 찢어지거나 구멍이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손상 된 부분을 통해 액체가 유입되어 망막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열공성 망막박리'라 하고, 이것이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 망막박리과정사진1

    1단계
    액화된 유리체

  • 망막박리과정사진2

    2단계
    망막열공 상태

  • 망막박리과정사진3

    3단계
    유리체가 흘러들어간 상태

  • 망막박리과정사진4

    4단계
    실명 전 망막박리 상태

[ 망막박리의 종류 ]

  • 열공성 망막박리

    열공성 망막박리

열공성 망막박리는 가장 흔한 종류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발생합니다. 고도근시, 노화로 인한 망막주변부의 변성과 눈 안내에 수술 후 외상 등에 의해 망막에 열공(구멍)이 생기고, 이 구멍을 통해 눈 속의 액체가 침범하면서 망막 밑으로 새어 나오게 되어 망막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 부평성모안과 치료사례 견인성 망막박리

    견인 망막박리

비열공성 망막박리는 망막 안쪽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망막이 분리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보통 증식성당뇨망막병증, 증식유치체망막병증, 고혈압, 안구천공상 후, 포도막염 등에 의해 눈 속에 섬유조직이 자라게 되어 망막을 들뜨고 구겨지게 됩니다.
  • 부평성모안과 치료사례 삼출성 망막박리

    삼출성 망막박리

망막에 열공(구멍)과 후유리체박리가 없어도 황반부에 국한된 퇴행, 눈 속 염증, 안구 내 종양 등에 의하여 망막 아래에 액체(삼출액)가 고여서 발생하는 삼출성 망막박리가 있습니다.

[ 망막박리 증상 ]

망막박리는 시력장애가 생기기 전에도, 날파리증(비문증), 광시증, 시야장애(위, 아래, 좌우에서부터 시야가 커튼을 친 것 같이 가리워 보이는 증상,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는 증상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중심망막(황반부위)은 잘 유착되어 있고, 주변부부터 서서히 망막박리가 지속되면, 증상을 못 느끼고 우연히 안과 검사에서 발견될 수도 있습니다.

시야장애 망막이 박리된 경우 열공된 구멍으로 물이 차서 망막이 시신경벽으로부터 떨어진 상태
  • 망막박리 시야장애

    망막박리 시야

  • 박리된 망막

    박리된 망막 증례

  • 박리된 망막 치료사례

    박리된 망막

비문증 뒤유리체가 박리한 경우 치료를 하지 않으면 망막방박리 진행됨
  • 비문증

    비문증(날파리증)

  • 망막열공 치료사례 부평성모안과

    망막열공 치료사례

  • 열공성 망막박리 부평성모안과 치료사례

    열공성 망막박리 치료사례

광시증 유리체가 감각신경막을 견인한 경우
  • 광시증

    광시증

  • 견인성 망막박리 치료사례 부평성모안과

    견인성 망막박리 치료사례

  • 망막열공 부평성모안과 치료사례

    망막열공 치료사례

망막박리 치료방법 열공망막박리는 매우 초기, 일부에 국한된 경우(광응고레이저)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수술이 필요합니다. 특히 중심망막(황반)이 유착되어 중심 시력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빠르게 수술을 진행해야 합니다. 그러나 오래된 만성적인 망막박리는 수술로 망막을 재유착시킨다. 하더라도 기능을 회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눈 상태에 따라 안구 유지 목적으로 시술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박리된 기간이 길수록 수술 후 재유착 성공률이 떨어지게 되며, 시력 회복도 제한적입니다. 수술 전에는 망막박리의 범위가 커지지 않도록 안정시키는 것이 좋고, 독서 등의 근거리 작업도 가능한 한 피해 주셔야 합니다.
  • 냉응고술  및 레이저 광선 치료 이미지

    01   냉응고술 및 레이저 광선 치료


    망막에 열공(구멍)은 있으나 아직 망막박리까지 발전하지 않은 경우 즉각적으로 반흔조직을 만들어 장벽을 들어주므로서 레이저 광응고술을 시행하여 열공(구멍)을 이 번지는 것을 막아 주므로 망막박리가 일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망막열공 폐쇄술에는 레이저 광응고술, 냉응고술, 가스주입술 등이 있습니다.
  • 망막박리 공막 돌륭술 이미지

    02   망막박리 공막 돌륭술


    공막 돌륭술은 안구 바깥에서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스폰지나 타이어 등으로 안구를 누르고 떨어진 망막을 붙여 망막이 원래 자리에 유착될 수 있도록 돕는 수술입니다. 열공이 닫히면 망막 아래 고여 있던 액체가 모두 흡수되어 박리되었던 망막이 원래 위치에 고정 되게 됩니다.
  • 유리체 절제술 이미지

    03   유리체 절제술


    견인성 망막박리와 정상적인 망막 내 액체가 소실되는 특정 망막박리 치료에서는 유리체절제술이 필요합니다. 유리체절제술은 유리체와 망막이 연결된 유리체를 제거하고 눈 속에 가스를 넣어 망막이 다시 붙도록 하는 수술로 수술 후 환자는 망막 회복을 위해 한동안 특정한 자세를 유지해야 하며 수일 후 안구내 정상적인 액체(공기 및 가스)가 유리체를 대체하게 됩니다. 유리체절제술은 추후 백내장 진행 가능성이 높으므로 백내장수술을 함께 진행합니다.
  • 기체망막유착술 이미지

    04   기체(가스)망막유착술


    기체망막유착술은 안구 중앙부위에 가스방울을 주입해 팽창하는 가스의 힘으로 분리된 망막을 다시 안구벽에 붙도록 하는 시술방법 입니다. 망막상부 주변에 생긴 열공, 황반원공, 공막돌륭술 후에 생긴 재박리, 출혈이 발생한 망막박리 환자에게 주로 시행하게 됩니다. 수술 후에는 가스방울이 열공을 누를 수 있게 엎드린 자세를 유지하는게 좋으며, 절개 과정이 없으므로 눈 손상이 적고, 수일 내 회복되게 됩니다. 안구에 주입된 가스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소멸됩니다.

[ 본원 증례 사진 ]

  • 가스주입 1일차 사례 부평성모안과

    1단계
    가스주입 1일차 사례

  • 가스주입 사례 20일차 부평성모안과

    2단계
    가스주입 사례 20일차

  • 가스주입 사례 30일차 부평성모안과

    3단계
    가스주입 사례 30일차

  • 가스주입 사례 60일 경과 부평성안과

    4단계
    가스주입 사례 60일 경과

  • 실리콘충전 치료사례 부평성모안과

    05   실리콘 기름 주입술


    망막박리 상태가 심하면 실리콘 기름을 주입해 망막을 오랫동안 유착시키는 실리콘 기름 주입술을 시행받게 됩니다. 특히 망막박리가 오래됐거나 망막박리 재유착 수술을 실패해 엎드린 자세 유지가 어려운 경우 또는 광범위한 망막절개를 시행한 경우, 망막위축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진행을 하게 됩니다.
  • 06   실리콘 기름 제거술


    실리콘 기름 주입술 후 떨어진 망막이 완전히 붙으면 실리콘을 제거하게 됩니다. 제거 시기는 수술 후 3~6개월 사이로 심한 유리체망막병증의 경우 최소 8주에서 최대 1년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술 후 생활 속 관리법 망막박리가 있었던 사람은 수술 후 눈 관리에 주의해야 합니다. 뛰거나 머리를 흔드는 격렬한 운동을 하면 망막박리가 재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안과 전문의의 주의를 잘 지키는 동시에 눈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또한 비문증 및 광시증 증상이 갑자기 생겼을 경우 망막전문의에게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28년 역사의 부평성모안과

FULLSET옵티레이저, 최소 절삭 -12디옵터까지 교정, 8년 연속 인천 베스트 ICL 센터 수상, 무봉합 백내장 전문의 상주